[현장연결] 문대통령 "유엔 차원 해양플라스틱 대응 논의 촉구"<br /><br />P4G 서울 정상회의 둘째날, 문재인 대통령이 개최국 정상 자격으로 정상토론 세션을 직접 주재합니다.<br /><br />녹색 회복, 탄소 중립, 민간협력의 3가지 주제에 대한 토론이 진행되는데요, 문 대통령의 발언 직접 보시겠습니다.<br /><br />[문재인 / 대통령]<br /><br />지금부터는 오늘 토론 세션에 대한 관련자들의 발언 주제를 듣는 시간입니다.<br /><br />주제에는 세 가지입니다.<br /><br />첫째, 포용적인 녹색 회복을 이루기 위한 각국의 노력.<br /><br />둘째, 2050 탄소 중립을 향한 국제사회의 공동 대응 방안.<br /><br />셋째,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민관 협력 확산 방안입니다.<br /><br />먼저 P4G 개최국으로서 한국의 경험과 노력을 간략히 소개하겠습니다.<br /><br />정상 여러분, 탄소중립은 지속가능한 녹색미래를 만드는 일입니다.<br /><br />전 인류가 함께 꾸준히 노력해야 이룰 수 있는 목표이기에 실천 방안 역시 지속 가능해야 합니다.<br /><br />강제와 규율, 또는 선의에만 의존해서는 국민과 기업의 계속된 참여를 담보할 수 없습니다.<br /><br />탄소중립을 신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의 기회로 만들어 각계각층의 국민으로부터 공감대를 얻고 기업이 자발적으로 기술개발과 투자에 나설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.<br /><br />이를 위해 한국은 그린 뉴딜을 국가 역점 사업으로 추진하고, 2025년까지 650억 불 규모의 재정을 투입하려고 합니다.<br /><br />민간의 활발한 참여를 이끌고 혁신 노력을 뒷받침하는 것에 정책의 주안점을 두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미 구체적인 성과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국 해양 생태계의 보고인 전라남도 신안에서는 지역주민과 지자체, 기업, 노동계가 힘을 모아 8.2기가와트 규모의 세계 최대 해상풍력단지 조성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이 사업에 참여하는 주민은 지분을 가지게 되고, 매년 소득의 일부분을 분배받습니다.<br /><br />주민참여형 해상풍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대표적인 산업도시 울산은 해저 천연가스를 추출하던 바다 한가운데에 그 시설들을 활용하여 6기가와트 규모의 부유식 해상풍력단지와 그린수소 생산시설을 건설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 두 개의 사업만으로도 향후 10년간 약 750억 불의 투자가 이뤄지고 33만 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합니다.<br /><br />주민과 기업이 협력하고 정부가 지원하는 한국의 그린 뉴딜이 좋은 참고가 되기를 바랍니다.<br /><br />기후 문제에는 국경이 없습니다.<br /><br />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이 서로 다른 경제·사회적 여건을 이해하며 연대해 나가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.<br /><br />선진국들의 과거처럼, 산업화와 경제성장을 위해 화석연료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개발도상국에게는 탄소중립의 길이 매우 어렵습니다.<br /><br />선진국들이 지원을 늘려 개발도상국의 부담을 함께 나눠야 합니다.<br /><br />한국은 국제사회의 연대와 협력을 높이기 위해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을 연결하는 가교역할을 하겠습니다.<br /><br />선진국과 함께 기후위기 대응에 적극 동참하면서, 지난해 한국 송도에 문을 연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 협력사무소와 녹색기술센터를 통해 개발도상국이 친환경 기술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.<br /><br />기후 분야 ODA 확대,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의 그린 뉴딜 펀드 신탁기금 설립 등 개발도상국의 재원 마련과 역량 강화에 함께할 것입니다.<br /><br />온실가스 감축은 해운과 선박에서도 이뤄져야 합니다.<br /><br />친환경 해운과 친환경 선박이 강화되어야 합니다.<br /><br />한국은 2019년 한국에서 개최된 한-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서 해양쓰레기 관리 협력을 강화하기로 하였고, 올해부터 필리핀, 인도네시아와 해양쓰레기 관리 역량을 높이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유엔 차원의 해양플라스틱 대응 논의를 다시 한번 촉구합니다.<br /><br />민관 파트너십 구축과 국제 협력 증진을 위한 한국의 노력이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을 향한 전 세계의 발걸음을 앞당길 수 있기 바랍니다.<br /><br />감사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